[미디어스=고성욱 기자] 류희림 전 방송통신심의위원장의 ‘민원사주 의혹’에 대해 감사원이 실지 감사에 착수했다. 방통심의위 구성원들이 '민원사주 의혹' 문제를 제기한 지 1년 반 만이다.
방통심의위 구성원들은 “민원사주뿐 아니라 사건 은폐를 위한 감사실의 직무유기 등 류희림 체제 부역행위의 진상을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30일 뉴스1 단독 보도에 따르면, 감사원 행정안전1과는 이날부터 다음 달 18일까지 ‘민원사주 의혹’과 관련한 방통심의위 실지 감사를 진행한다. 실질 감사에 앞서 이미 9명가량의 감사원 직원들이 방통심의위에 파견돼 사무실을 꾸렸다.
김준희 전국언론노동조합 방통심의위 지부장은 이날 미디어스에 “류희림 씨의 민원사주와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여부뿐만 아니라, 사건 은폐를 위한 감사실의 직무유기, 적반하장의 제보자 색출과 위증 교사 등 류희림 체제 부역행위의 진상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감사원의 ‘민원사주 의혹’에 대한 본격적인 감사는 국회에서 감사요구안이 의결된 지 약 110일 만이다. 지난 3월 13일 국회 본회의에서 류 전 위원장에 대한 감사요구안이 처리됐다. 감사원은 3개월 이내로 감사 결과를 국회에 보고해야 하지만, 필요 시 감사 기간을 2개월 범위 내에서 연장할 수 있다. 8월 중으로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재조사 끝에 지난 4월 21일 ‘민원사주 의혹’ 사건을 감사원에 이첩했다. 권익위는 방통심의위 구성원들이 2023년 12월 민원사주 의혹 사건 신고서를 제출한 지 1년 4개월 만에 류 전 위원장에게 이해충돌위반 소지가 있다고 판단했다.
앞서 권익위는 지난해 7월 방통심의위 감사실에 ‘셀프 조사’를 맡겼다. 방통심의위 감사실은 ‘이해충돌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조사 결과를 권익위에 보냈고 사건은 종결 처리됐다. 셀프 감사를 주도한 박종현 감사실장이 1급으로 승진해 방통심의위 내부에서 ’부역자 포상‘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지난 3월 류 전 위원장에게 직접 ’동생의 민원‘을 보고했다는 방통심의위 간부의 증언이 나오면서 ‘민원사주 사건’이 새 국면을 맞았다. 장경식 전 종편보도채널팀장은 지난 3월 5일 국회에서 류 전 위원장에게 본인이 직접 ‘동생 민원 신청 보고서’를 대면 보고했다고 폭로했다.
또 장 전 팀장은 권익위에서 허위 진술을 한 뒤 류 전 위원장으로부터 '고맙다' '잘챙겨주겠다' '미안하다' 등의 말을 들었다고 증언했다. 류 전 위원장이 장 전 팀장의 폭로 보름 뒤에 휴대전화를 아이폰으로 교체한 사실도 드러났다. 휴대전화 변경 직후 류 전 위원장은 경찰로부터 다시 조사를 받으러 나오라고 통보를 받았다고 한다. 방통심의위 구성원들은 지난 4월 권익위에 재조사를 요구하는 신고서를 제출했다.
권익위의 재조사가 시작되자 류 전 위원장은 지난 4월 25일 '일신상의 이유'로 돌연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주호 권한대행이 사표를 수리하지 않자, 류 전 위원장은 지난달 5월 1일부터 병가에 들어갔고, 대선 당일인 지난 6월 3일에서야 수리됐다. 류 전 위원장은 ‘민원사주 의혹’을 비롯한 국회 불출석·위증 혐의로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2023년 9월 류희림 위원장 취임 이후 방통심의위는 ▲민원사주 의혹 ▲가짜뉴스 신속심의 ▲정부·여당 비판 방송 무더기 심의 ▲인터넷 언론사 심의 ▲윤석열 대통령 풍자 영상 접속차단 ▲선거방송심의위원회 정치 편향 구성 ▲직원 보복 인사 ▲도둑호선 논란 등 파문을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