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루라기 불기 > 호루라기소식

호루라기소식

[서울신문 탐사보도-공익제보 끝나지 않은 싸움] 이지문 호루라기재단 상임이사 인터뷰 등

  • 호루라기재단
  • 2014-01-20
  • 조회수 467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code=seoul&id=20140120009005&keyword=공익제보

** 서울신문사가 최근 공익제보와 관련한 탐사보도 시리즈를 연달아 기획기사로 다루었습니다. 서울신문사는 탐사보도팀(경제부 김경두·윤샘이나 기자, 정치부 하종훈 기자, 사회부 유대근·신융아 기자, 국제부 김민석 기자, 산업부 명희진 기자)을 구성하여 한달여에 걸쳐 공익제보자 3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1월 13일부터 22일 현재까지 20건이 넘는 탐사보도 및 관련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호루라기재단 이지문 상임이사 인터뷰의 경우도 이 연속기획 중 한 꼭지로 보도된 것입니다.
보도된 기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탐사보도-공익제보 끝나지 않은 싸움] 이지문 호루라기재단 상임이사
“제보 후 불이익 없애고 재취업 등 특혜 늘려야”
2014-01-20 9면 ∥ 탐사보도팀 jebo@seoul.co.kr (▶상단 링크 참조)

 
“생활 속 아주 작은 공익 제보를 독려할 필요가 있어요. 이제 공익 제보하면 살기 어렵다는 공식을 깨뜨릴 때가 된 것 같습니다.”
공익 제보자를 지원하기 위해 2011년 설립된 시민단체인 호루라기재단의 이지문 상임이사는 19일 “작은 공익 제보가 삶을 바꾼다는 인식이 퍼져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기존의 언론 보도 등이 공익 제보의 효능이 아닌 공익 제보자의 어려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이다. 이 이사는 “공익제보자가 제보 이후 겪은 어려움 등이 크게 강조되다 보니 제보의 필요성보다 제보하면 불이익이 온다는 걸 먼저 학습하게 되는 것 같다”면서 “대단한 제보도 중요하지만 생활 속의 작은 제보가 독려되고 보호된다면 결국 그게 큰 제보로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탐사보도-공익제보 끝나지 않은 싸움] 들춘 용기, 멍든 인생
74% “후회없다”…100% “조직서 불이익” - 내부고발 ‘양심의 호루라기’ 35명 심층 인터뷰
2014-01-13 1면 ∥ 탐사보도팀 jebo@seoul.co.kr

 
공익 제보자 10명 중 7명 이상이 내부 비리를 고발한 것에 대해 후회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공익제보 이후 대부분이 신상에 대한 위협이나 면직 처분을 받는 등 불이익을 당했지만 절반 이상은 내부 고발하기 전으로 돌아가도 다시 고발할 뜻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보기


 

[탐사보도-공익제보 끝나지 않은 싸움]
용기 내 폭로했지만 돌아온 건 싸늘한 시선·해고 통보
2014-01-13 2면 ∥ 탐사보도팀 jebo@seoul.co.kr

 
세종문화회관 내부 비리를 제보했던 30대 중반의 여직원은 지난달 중순 갑자기 찾아온 한파만큼이나 시린 면직 통보를 받았다. 발단은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세종문화회관 산하 삼청각에서 9년간 홍보 담당 지배인으로 근무해 온 A(38)씨가 지난해 4월 삼청각의 웨딩사업 관련 비리를 처음으로 폭로한 데서 시작됐다. A씨는 같은 해 2월 삼청각과 혼례 진행 용역 계약을 맺은 I사가 삼청각을 퇴사한 한 직원이 세운 페이퍼컴퍼니이며, 입찰 당시 담합 의혹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돼 상사에게 이 문제를 알렸다. A씨는 12일 “공익 제보 이후 직장 내에서 은근한 ‘왕따’가 시작됐다”고 말했다... ▶기사보기


 

[탐사보도 - 공익제보 끝나지 않은 싸움] 공익 제보할 때 유의할 점
충분한 근거자료 없을땐 배신자 낙인…역풍 평소에 신뢰 쌓고 ‘자기 편’ 많이 만들어야
2014-01-13 2면 ∥ 탐사보도팀 jebo@seoul.co.kr

 
사회의 변화를 이끄는 공익 제보는 그 여파가 크기 때문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자칫 고발 대상이 되는 조직으로부터 인사상 불이익을 당하거나 ‘배신자’ 낙인이 찍힐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공익 제보자와 전문가들은 공익 제보를 하기 전에 충분한 근거 자료를 준비하고 내·외부에서 자신을 도와줄 수 있는 ‘자기 편’을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충분한 근거 자료 준비 내부의 비리를 입증할 만한 충분한 근거 자료 없이 고발을 하면 역풍을 맞을 수 있다. 공익 제보가 ‘고발’에 그치지 않고 문제 해결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자료 확보가 관건이다... ▶기사보기


 

[탐사보도-공익제보 끝나지 않은 싸움] 일 뺏긴 남편 나쁜 맘 못 먹게 쫓아다녔죠
횡령 알린 권태교씨 아내 강모씨의 고통 배신자로 찍혀
2014-01-13 3면 ∥ 탐사보도팀 jebo@seoul.co.kr

 
2007년 서울 시내버스 회사의 요금 횡령을 언론에 알린 권태교(54)씨는 “이 사람이 곁에 없었다면 나는 죽었을 것”이라고 수차례 강조했다. 12일 서울신문이 만난 권씨의 아내 강모(65)씨는 시종일관 권씨의 옆에 조용히 앉아 있었다. 강씨는 “철저한 준비 없이 돈도 많고 힘 있는 버스회사에 맞선 남편이 몸과 마음을 많이 다쳤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이야 공익신고자 보호법이 정비되고 제보자를 지원하는 단체도 많고 국민권익위원회에 신고할 수 있는 체계도 잘 잡혀 있지만 당시엔 그렇지 못했다”면서 “당시에는 나도 남편도 너무 순수했던 것 같다”고 회고했다... ▶기사보기


 

[탐사보도-공익제보 끝나지 않은 싸움] 두 공익제보자의 고백
“잘못된 걸 잘못됐다고 말했을 뿐…난 영웅 아니다”
2014-01-13 3면 ∥ 탐사보도팀 jebo@seoul.co.kr

 
“자기 자신을 스스로 속이지 않겠다는 결심이 있다면 누구라도 내부 고발을 할 수 있다고 봅니다. 도덕적으로 더 우월한 것도 아니고 남들보다 고통을 더 잘 이겨내는 것도 아닙니다. 우리도 똑같은 사람입니다.” 강원 고성군청 7급 공무원 이정구(42)씨의 목소리에서는 단호함과 절실함이 묻어났다. 말단 공무원이 군수의 비리를 고발한 이후 10년. 이씨의 고통은 현재 진행형이다. 몸이 망가지고 가정이 파괴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고 군청으로 돌아갔지만 내부고발로 인한 멍에와 부담은 여전히 그를 따라다니고 있다... ▶기사보기


 

[탐사보도-공익제보 끝나지 않은 싸움] 제보자 35명 중 28명 “개인적 원한 오해”
음지에 묻힌 그들, 왜?
2014-01-13 2면 ∥ 탐사보도팀 jebo@seoul.co.kr

 
“새 정부가 들어서자 야당 국회의원들이 4대강 사업에 대한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나와 달라고 요청했었죠. 하지만 저는 조용히 연구에만 전념하고 싶을 뿐 이제 제 이름이 거론되는 것 자체가 부담스럽습니다.” 2008년 5월 인터넷 포털사이트 다음 아고라 게시판에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4대강 정비계획의 실체는 대운하”라고 폭로해 파문을 일으킨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김이태(52) 박사는 12일 “정치적 논란의 한복판에 뛰어들기를 원하지 않고 잊혀져 지내고 싶다”고 말했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로 연구원과 동료들에게 부담을 주고 싶지 않다고 했다... ▶기사보기


 

[탐사보도-공익제보 끝나지 않은 싸움] 제보자의 소원 일자리 지키기
권익위에 보호 신청 174건 중 141건이 신분 보장 요청
2014-01-13 3면 ∥ 탐사보도팀 jebo@seoul.co.kr

 
“한국수력원자력이 공익 제보를 하면 포상금으로 10억원을 준다고 했었죠. 방위사업청도 비리를 고발하면 2000만원에 승진까지 내걸었어요. 그러나 인센티브를 주겠다고 해도 공익 제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게 현실입니다.” 2006년 해군 복무 시절 계룡대 근무지원단의 입찰 비리를 폭로한 국민권익위원회 김영수 조사관은 12일 “공익제보자에 대한 보상 정책이 강력하고 강제성이 있어야 한다”며 제보자의 신분과 일터 보장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국민권익위원회에 따르면 2002년부터 지난해 7월까지 공익 제보자가 신고 이후 보호 조치를 요구한 사례는 174건이었다. 이 중에는 신분 보장에 대한 요구가 141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을 정도로 기존 일터에서 일하기를 희망했다... ▶기사보기


 

[탐사보도-공익제보 끝나지 않은 싸움] 수천억대 예산·사업비 절감… 국민 건강권 확대도
공익 제보의 ‘사회·경제 가치’
2014-01-15 3면 ∥ 탐사보도팀 jebo@seoul.co.kr

 
“한국전력에서 양심적인 공익제보자가 나왔다면 2011년 9월의 대정전은 일어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한 명의 공익제보자가 1000명의 경찰보다 낫다고 생각합니다.” 김용환 ‘공익제보자와 함께하는 모임’ 대표는 14일 “공익제보는 국가와 기업의 부정부패 행위를 적발하

  





별명  아이디  비번  

위로가기